티스토리 블로그의 관리자 페이지가 502 Bad Gateway 오류 해결 방법은 없는걸까? 금방 복구 될거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오래 걸려 불안불안하게 복구가 되었습니다. 글을 쓰고 있던 터라 자동저장도 안되고 난감했습니다. 네이버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이런 502에러가 티스토리는 종종 보입니다.
그래도 국내 블로그 중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 가지 블로그 플랫폼을 고르라면 네이버 블로그와 카카오의 티스토리 블로그인데 서비스와 안정성에서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무슨 구멍가게도 아니고 그래도 이름만 들으면 아는 기업인데도 502 Bad Gateway 오류가 잊을만 하면 한 번씩 발생합니다. 이번에는 일반 티스토리 페이지가 아닌 관리자(manage)페이지의 502에러였습니다.
502 Bad Gateway 오류, 티스토리 블로그
사실 다음(daum)에서 카카오로 넘어가면서 티스토리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나마 얼마간의 기대가 있었습니다. 네이버 블로ㅛ그에 비해 개방적이고 자율성이 있다는 엄청난 메리트 때문에 여전히 꾸준하게 찾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니까요.
특히 애드센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정말 고마운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요? 울며 겨자먹기로 나 또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지만 뭔가 먹을것이 없는 계륵과 같은 존재로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지금은 복구 되었지만 조금 전에 있었던 티스토리 관리자 502 Bad Gateway 오류 또한 참 재미있는 현상이었습니다. 글을 날린 사람들도 분명 있을테지요. 자동저장이 안되니.
글을 작성할때 중간 중간 저장을 수동으로 하는 습관이 꼭 필요합니다.

글을 작성하고 있었는데 수동 저장이 안되고 자동저장 실패 알림이 뜨길래 급하게 확인해 보니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가 502 Bad Gateway 오류가 발생한 상태였습니다. 언제부터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글을 쓰는 중간 알아서 다행이지 저장도 안되는 상태라 그냥 날릴뻔 했습니다.
티스토리 홈의 다른 사람들 블로그가 들어가지는걸 보고 특정 페이지 - 관리자(manage) - 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502에러를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 봅니다.
502 Bad Gateway 오류, 해결 방법
편의상 502 에러라고 써 보겠습니다. 이 오류는 쉽게 말해 웹 서버가 다른 서버에서 정상적인 응답을 받지 못할 때 발생하는 오류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편하게 중간에 메시지가 막혀버린 것처럼 웹 페이지에 접속이 불가능하게 된것을 말합니다.
우리가 오늘 확인한 것처럼 '페이지 접속이 안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요원인으로는 4가지 정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502 오류 원인
- 서버의 과부하 문제
- 서버간 연결의 네트워크 문제
- 웹 서부 구성 문제 (또는 S/W 문제)
- 외부 서비스 장애
이런 문제들이 원인이라고 하는데 앞에서 말한 것처럼 카카오가 무슨 구멍가게도 아니고 별 관심이 없는건지 좀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잔뜩 욕을 해주고 싶지만 어쨌거나 나도 블로그를 사용하는 사람이고 오래 동안 해왔기 때문에 애착이 가기도 하고.. 좀 마음이 그렇습니다.
여러분은 어떤가요?
502 오류 해결 방법
이런 문제가 있기 때문에 502 에러(Bad Gateway)가 발생했을때 우리가 해볼 수 있는 해결 방법은 몇 가지로 정해져 있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 잠시 후에 다시 접속해 보기
- 브라우저 새로 고침(F5)
- 다른 브라우서 사용해 보기 (Chrome, Edge 등)
- 인터넷 연결 확인 (기본)
- DNS 캐시 비워보기
- 관리자에게 문의 (가능성 없음)
이 정도의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조심해야 할 것은 아까 나와 같은 상황 - 글을 작성하고 있었을 경우 - 이라면 새로고침이나 재접속을 하기 전에 꼭 글을 따로 백업해둬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장이 안되니 그냥 날라가요.
그리고 그 이전에 기본적으로 자신의 컴퓨터가 인터넷 연결이 정상인지를 먼저 확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내부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마지막은 DNS 캐시 비워보기인데요, 간단한 명령어로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이전 관련글도 참고해 보세요.
캐시비움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cmd에서 진행합니다.)
- 윈도우 사용자 : ipconfig /flushdns
- 맥(리눅) 사용자 : sudo killall -HUP mDNSResponder
관련 글 : |
이런 순서로 진행해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502에러가 생겼을 경우 특정 페이지만 그런지 아니면 웹 사이트 전체가 접속 장애가 있는지를 꼭 확인해 보세요. 오늘과 같이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만 Bad Gateway 오류가 발생하고 일반 페이지는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덧붙임
보통 502 에러(Bad Gateway)와 같은 경우 갑작스러운 서버의 부하나 네트워크 문제가 많이 있다고 하는군요. 그 밖에도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특히 트래픽이 많이 걸리는 경우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가 그런가요?
정작 글을 쓰고 있는 블로그 사용자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습니다.
위에서 개인이 해 볼 수 있는 간단한 조치사항들을 제외하고 우리가 해 볼 수 있는 것은 단지 '기다림'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참 슬프지 않은가요?
어쨌거나 관리자에게 문의해도 허송세월을 기다려야 하니 매 한가지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 블로그 글 쓰다가 날린분 없기를 바랄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