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돈을 꽁으로 먹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법은 날로 진화를 합니다.
예전 핸드폰이 별로 없었을때는 주로 집전화로 피싱이며 사기를 쳤다면 이제는 조금 달라졌죠.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앱(APP)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대중화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요즘 스마트폰을 앱을(악성)이용한 사기방법이 생겨났습니다.
오늘 이메일을 통해 기업은행에서 받아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마 아시는 분들도 있을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원문을 첨부해 보니 읽어보시고 참고해 보세요.
사진 ⓒ Pixabay
아래 글을 읽어 보시면 아실테지만 원리는 간단합니다.
돈이 필요한 사람들은 하나가 아쉬울텐데 이런 심리를 이용해 저금리로 이용 가능하다고 한 후, 본인 확인(인증)을 핑계로 사용자에게 핸드폰 어플(앱)을 설치하게끔 유도를 하는 방법입니다.
악성앱을 설치하게되면 개인의 신상정보가 넘어가게 되며, 이를 이용해 가짜계좌로 송금하게끔 유도하는 방식이죠.
보통 젊은 사람들도 많이 걸린다고 하는데.. 나는 아니겠지 하면 오산입니다.
아래 글을 참고해 보세요.
기업은행 스마트폰앱을 이용한 피해사례
타인으로 부터 앱 설치를 요구받을땐 일단 의심부터 해 봐야 합니다.
보통 정식적인 어플(앱)은 안드로이드는 플레이스토어(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은 앱스토어를 이용해 정식으로 다운 받아 설치하는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는 루팅이 되기때문에 악성코드에 감염되기 쉽죠.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잘 알지 못하는 앱, 또는 카톡이나 문자메세지의 링크형식으로 오는 것들은 유의하셔야 합니다.
사기가 의심될때는 금감원 콜센터나 경찰서를 통해 바로 신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금감원 콜센터 전화 : 1332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