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는데 빚이 없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합니다.
학교 다닐때 부터 학자금, 결혼할때 주택, 살아가면서 병원비나 기타 이유로 돈을 빌려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금수저라면 좋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은 그렇지 못하죠.
기본적으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데 알아두어야 하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신용이건 담보이건 필수적으로 알아두어야 하는 내용들이죠.
이번 글에서는 초간단하게 은행으로부터 돈 빌릴때 알아두어야 하는 꿀팁 3가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 아는 내용일수 있고 처음 접할 수 있는데 일단 꼼꼼히 챙겨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진 ⓒ Pixabay.com
PART 1. 금리와 기간을 따져보고, 상환 총액을 계산해 보자.
보통은 상환기간이 긴 상품들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유가 부족한 분들은 대다수 이런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죠.
바로 상환기간이 길어질수록 납입해야하는 이자가 크다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을 잠깐 보도록 할까요?
2000만원을 빌렸을 경우 5% 금리, 2년 만기시 이자와 4% 5년 만기시 이자를 비교해 봅니다.
보통 이미지와 같이 2배 가량의 이자를 더 납부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상환기간을 줄이는 것이 남는 장사입니다. 여유가 되는 한도에서 줄여봅시다.
PART 2. 우대금리가 있는지 꼭 확인해 보자.
이 부분은 그냥 넘어가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요, 만약 빌리는 은행과 거래를 하고 있다면?
우대금리 부분은 꼭 따져봐야 할 부분입니다.
보통은 주거래 은행이거나 신용카드 사용 혹은 신용우수자, 자동이체 등 거래 내용에 따라 우대금리가 결정이 되는데 100% 다 되는건 아니지만 밑져야 본전이라 이 부분은 돈 빌릴때 꼭 확인하고 넘어가는게 좋습니다.
사진 ⓒ Pixabay.com
PART 3. 마지막 포인트, 상환방법을 결정해야 할 때!
돈 빌릴때 보통 결정을 해야 하는 부분, 대부분 알고 있듯 상환하는데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원금을 균등하게 나누어 상환하는 '원금 균등방식' 이 있고, 매달 일정한 금액을 내는 '원리금 균등방식' 이 있습니다.
보통 어떤것을 선택하시나요? 아래 조건을 보고 따져봅시다.
위의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이자를 절약하는데는 원금 균등방식을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고 매달 일정 금액을 납부하고자 할때는 원리금 균등방식을 선택하면 됩니다. 사람마다 또는 조건마다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상환방식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변동금리와 고정 금리 부분이 있습니다.
금리 부분도 약간씩 다른데 어떤것이 좋다.. 라고 얘기는 할 수 없지만 짧은 기간 빌릴때는 보통 변동금리를 불확실성이 큰 장기의 경우에는 고정금리가 좋다고 합니다.
요렇게 해서 돈 빌릴때 알아두면 좋은 3가지 꿀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빚은 없으면 좋지만 부득이하게 은행을 통해 빌려야 할때는 귀찮더라도 좀 더 꼼꼼하게 따져보고 하나하나 선택하는것이 절약하는 또 하나의 방법 같습니다.
[참고] 금융감독원, 관련 법규 FAQ https://www.fss.or.kr/fss/kr/main.html